Search
🎛️

실시간 스트리밍을 할 수 있나요?

[ 유튜브 채널 설정하기 ]

 최소 24시간 이전에 진행 필수

스트리밍을 진행 할 유투브 채널에서 다음 과정을 실행해주세요.
1. 메뉴를 통해 YouTube 스튜디오를 클릭합니다.
2. 우측 상단의 해당 실시간 스트리밍 아이콘을 클릭합니다.
3. 처음 실행 시 24시간 후 부터 실시간 스트리밍이 가능합니다.
유튜브 채널을 생성한 뒤, 최소 이벤트 리허설 3일 전에 사진(유투브1~3)에서의 과정을 이행해주세요.
앞의 과정을 잘 따라하셨다면 24시간이 지난 뒤 실시간 스트리밍이 가능해집니다. (실시간 스트리밍을 처음 누른 뒤부터 24시간 이후에 활성화가 되니 꼭!! 미리 유튜브 1~3의 과정을 이행해주세요!)

[ OBS 프로그램 설치하기 ]

1.
다음으로, OBS 프로그램을 설치해주세요.
2.
OBS프로그램을 설치하셨다면 사진(스트리밍1~스트리밍9)의 과정을 진행해주세요.
1. 방송 최적화를 선택합니다.
2. 서비스 : YouTube - RTMPS 를 선택하고, 하단의 [계정 연결]과 [방송 키 사용] 중 [방송 키 사용]을 클릭합니다.
3-1. 유튜브 스튜디오 화면으로 돌아와 하단의 [스트림 키]를 복사해줍니다.
3-2. 복사한 스트림키를 OBS 프로그램의 방송키 입력창에 붙여 넣습니다.
4. 하단 소스 목록 창의 [+]를 통해 사용할 화면 소스를 선택합니다.
5. 컴퓨터 화면을 공유할 때는 [디스플레이 캡쳐], 카메라를 통해 화상을 공유할 때는 [비디오 캡쳐 장치]를 사용합니다. 화면 공유와 화상 공유를 둘 다 할 경우 두 가지 다 추가해줍니다.
6. [디스플레이 캡쳐]를 선택한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.
7. 공유할 화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8. [비디오 캡쳐 장치]를 누른 후 사용할 카메라 장치를 선택해줍니다. 공유 화면 내 빨간색으로 테두리 표시된 창을 움직여 위치 및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.
9. 모든 설정이 끝났다면 우측 하단의 [방송 시작] 버튼을 눌러 실시간 스트리밍을 시작합니다.
3.
몇 초가 흐른 뒤에 사진(스트리밍 10)처럼 유튜브 페이지에서도 실시간 스트리밍이 시작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4.
그리고 사진(스트리밍11)처럼 유투브 스트리밍 페이지 설정란에서 '퍼가기 허용'을 체크해주셔야 오비스에서 실시간 영상 공유가 가능해집니다.
5.
위 단계를 모두 따라하시면 사진(스트리밍12)처럼 오비스에서 실시간 중계를 보실 수 있습니다.
오비스 유튜브 아이콘에 스트림 URL 또는 공유 링크를 붙여넣어 [Load]를 눌러줍니다.
이외에도 외부 카메라나 마이크 연결, 영상 녹화 기능 같은 경우 별도의 설정이 필요하니 꼭 리허설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[ ! ] 스트림 키 입력이 누락되어 방송연결이 되지않을 경우에는 하단 사진(스트림키1~3)을 참고해서 재설정해주세요.